문화를 논하다!

하모니로 감동을 준 박칼린, 꿈과 선택을 말하다!

朱雀 2011. 1. 28. 06:30
728x90
반응형



지난 27일 오후 5시, 박칼린을 만나기 위해 분당선을 타고 이매역까지 갔다. 내가 사는 곳에서 무려 2시간이나 걸리는 멀고 먼 여정이었다. 칼마에를 만나기 위해 하루의 대부분을 소비했지만 아깝지 않았다. 박칼린이 누구던가? <남자의 자격> ‘합창단’편에서 우리에게 큰 감동을 선사한 장본인이 아니던가? 그녀를 직접 보고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상상만으로도 가슴 벅찬 기쁨이 느껴질 정도였다. -만약 다른 이였다면 굳이 이런 수고를 감수하지 않았으리라-

 

강연회 장소로 들어가고, 그는 시작시간인 오후 5시 30분에 칼 같이 맞춰왔다. 보통 연사가 짧게는 10분에서 30분 이상 늦는 것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그것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박칼린은 앉자마자 예의 매력적인 미소를 지었다. 그리곤 <그냥>에 대한 이야기부터 했다. 사실 이번 강연회는 얼마전 출간한 <그냥>의 홍보를 겸한 자리였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셔서 이 이야기부터 하려 합니다. 이번 책은 사실 3년 전부터 써온 것인데, 우연히 <남자의 자격>때와 집필 마무리 단계가 겹쳐서 이번에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는 많은 오해를 받은 것 같았다. 사실 나 역시 박칼린의 얼굴과 함께 <그냥>이란 책 선전을 보면서 ‘으응?’하고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었다. ‘<남자의 자격>으로 유명해지니 이번 기회에 책 낸거 아냐?’라고 말이다.

 

그는 절대 부인했다. 자신이 제일 무서워하는 것이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연기이고, 다른 하나는 글쓰기’라고 했다. 연기지도는 나이고하를 막론하고 상대방을 혼쭐이 날 정도로 다그치지만, 막상 본인 스스로 연기할 일이 생기면 왜 그렇게 쑥스러운지 모른다고 했다.

 

글쓰기 역시 단어 하나를 놓고, ‘아! 여기서 푸르다가 맞을까? 아니면 푸르스름하다라고 표현해야하나?’라며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 단어 선택하나까지 신경 쓰는 탓에, 일찍 내고 싶어도 쉽게 낼 수 없다고 했다. 오래전부터 준비해온 책에 대해 의심을 품다니, 슬그머니 부끄럽고 미안함이 떠올랐다. ‘박칼린 감독님, 쏘리!’

 

박칼린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예상과 다른 분위기에 몇 번 놀랐다. 마치 부산 아줌마의 수다를 듣는 기분이랄까? TV에서 봤던 느낌과 달리 강연회의 그는 카리스마도 느껴지지 않았고, 편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중간 중간 열정은 느껴졌다.

 

박칼린은 강연회에서 두 가지 메시지를 전했다. 하나는 ‘꿈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였고, 다른 하나는 ‘무엇을 하든 자신이 선택한 것이니 행복하기 위해 노력하라’는 것이었다.

 

그는 92-93년쯤 호주머니에 겨우 2만원 밖에 없던 시절이 있었다. 대학생 신분으로 서울에서 생활하면서 여차하면 부산에 내려갈 여비를 빼놓고 딱 1주일치 생활비 밖에 없었다. 어렸을 때부터 독립적이었던 그녀는 그런 상황에서도 부산에 사는 아버지나 할머니를 찾아가지 않고, 없으면 없는 대로 지냈다. 무더운 여름날 관악산을 오르는 것으로 소일거리를 하던 그는 갑자기 어머니와 동료에게 편지를 쓰고 싶어졌단다.

 

무려 앞뒤로 10페이지나 써내려간 편지는 써놓고 보니 두 사람이 자신을 ‘있는 대로 내버려둔 사람’이었던 사실이었다. “내가 편지를 써내려가면서 내용을 보니 다른 사람들처럼 ‘고맙다’라는 내용이 아니었다. 어머니는 언니들은 혼내고 야단치고 뭔가 지도했지만, 나는 내버려두었다. 동료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내가 무엇을 하든 ‘왜 가는데?’라는 말 대신 ‘잘만 다녀와라’는 말만 했다‘

 

그리고 박칼린은 얼마 후 부산에서 숙모에게서 자신의 어린 시절에 대해 모르던 비밀을 알게 된다. “숙모님이 그러시는 거에요. 어머니께서 칼린이는 뭘하고 싶다고 하던지 내버려 두라고.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 가기 싫어요’라고 하면 안가게 냅두라고."

 

처음에 그는 그런 어머니의 훈육방식을 오해했다. 언니들은 매번 혼내고, 발표회가 있으면 쫓아가는 것과 달리 자신은 너무 풀어줘서 ‘사랑받지 못하다’라고. 그러나 20살이 넘어서 그녀는 그것이 자신을 꿰뚫어본 어머니만의 훈육방식임을 깨달았다.

 

“내가 여태까지 학교생활을 얼마나 했는지 헤아려보니 1/3을 가지 않은 거에요. 근데 만약 그때 어머니가 ’학교가!‘라고 했다면, 아마 중학교도 제대로 마치지 못했을 거에요. 어머니는 스스로 자아를 형성하고 싶어하는 내 마음을 나보다 더 잘 알고 있었던 거죠.”

 

만약 ‘죽는 날을 알게 된다면 어떻게 행동하겠는가?’아마 나도 그렇지만 많은 이들이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불안에 떨며 죽는 날까지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달랐다.

 

“당시만 해도 바그다드가 무척 가고 싶었거든요. 바그다드, 티벳 등등을 여행야하고 먹고 싶은 것도 많고, 나는 그 이야기를 듣는 순간, 머릿 속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리스트를 정리하느라 정신없는데, 다들 ‘아무것도 못하겠다’라고 해서 신기했어요”

 

박칼린은 그런 사람이었다. 스스로 ‘불태우지 못하면 비키는 게 낫다’라고 말할 정도로 인생을 열정적으로 사는 인물이었다. 그런 그가 제일 싫어하는 말이 ‘당신은 복 받으신 분입니다. 다른 이들은 하고 싶은 게 있어도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못할 때가 많습니다“라는 말이란다.

 

만약 자신이 남자라면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을 ‘때려주고 싶다’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그는 음악이 너무나 하고 싶어서, 많은 것을 스스로 포기했단다. 언니들이 파티를 갈 때 연습을 하고, 심지어 남자친구를 사귀는 것을 포기할 정도로 말이다.

 

그는 말한다. “당신은 꿈을 이루기 위해 다른 것을 포기한 적이 있는가? 꿈이외엔 정말 아무것도 가져본 적이 없는가?”라고. 무척 어려운 질문이다. 나만해도 꿈을 쫓아가다가 현실의 벽에 부딪쳐서 낙담하고 몇 년을 헤맨 적이 있었다. 그러나 박칼린의 표현을 빌리자면, 나는 다른 선택을 한 것일 뿐이었다.

 

꿈을 위해 가난한 연극 배우 생활을 하지 않고, 안정된 직장생활을 택했다면 그것 역시 ‘나의 선택’인 것이다. 우린 하지 못한 것에 미련을 두고 안타까워한다. 박칼린은 말한다. “지금 자신이 한 선택을 후회하지 말고 행복할 수 있게 바꾸라”고.

 

옳은 말이고, 뒤통수를 한 대 맞는 기분이었다. 박칼린은 한 번도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일’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단다. 너무나 좋아해서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신났고, 돈을 많이 벌지 못했지만 늘 행복했었다고.

 

이야기를 들으면서 새삼 느낀 바가 많았다. 아마 그는 <남자의 자격>에 나오지 않았어도 ‘무소의 뿔’처럼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지 않았을까 싶다. 우린 그의 성공을 보며 ‘운이 좋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운도 실력이다.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 그것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포기하질 주저하지 않는 사람. 도전을 앞두고 두려워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가슴 떨려하는 그의 자세와 노력이 오늘날의 성공을 만들었다고 본다.

 

앞으로 박칼린은 연기도 하고, 그동안 써놓은 작품들도 하나씩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가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연기를 보여주고, 어떤 이야기를 펼쳐놓을지 기대가 크다. 꾸밈없고 당당한 그러면서도 소탈한 그의 모습이 무척 인상적인 강연회였다.


-참석자와 질의응답 중에서..

Q: 단 한편의 뮤지컬을 추천해주신다면?



Q: 좋아하는 아이돌이나 배우가 있으신가요?

728x90
반응형